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라이프 제작소/[생생정보]

온라인 전입신고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간단하게 하세요~

by 픽셀라이프 2020. 11.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사를 했다면 무조건 해야하는 단계가 바로 전입신고인데요. 요즘은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온라인 전입신고를 할 수가 있답니다. 진짜 편리하죠!! 어렵지가 않아요~  1분걸렸다고 하면 좀 그렇고 정말 넉넉잡아서 3분안에 끝낼 수 있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하는 사이트


우선 검색창에 '온라인 전입신고'  라고 입력하셔도 좋구요.  그냥 '전입신고'라고 쓰셔도 좋습니다!

어느 검색창을 이용하셔도 상관이 없는게 무조건 정부24로 넘어갑니다. 정부 24사이트는 주민등록 등본, 초본, 토지대장 등등 각종 온라인 업무들을 편리하게 할 수있어요!

 

 

전입신고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전입신고 전입신고 정보 신청방법, 처리기간, 수수료, 신청서, 구비서류, 신청자격 정보 제공 신청방법 인터넷, 방문 처리기간 즉시(근무시간 내 3시간) 수수료 수수료 없음 신청서 전입신고서(

www.gov.kr

 

 

 

전입신고에 대한 민원 안내와 신청에 대해서 나옵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


 

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할때의 유의사항이 나옵니다. 보통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신고해야해요. 그리고 거짓으로 신고하면 안되구요~ 근무시간인 18시내에 해야합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신청인이 미성년자 (만 17세미만) 인 경우와 기존 세대가 사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는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하는 방법


step 1. 연락처를 기재해주세요. 

step 2. 전입하는 사유를 기재하기.

전입하는 이유는 모두가 다 다릅니다.  정부 24에서는 크게 7가지 카테고리의 범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해당되시는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세요.

 

가족 : 가족과 함께 거주, 결혼 ,분가 등

주택: 주택구입, 계약만료, 집세, 재개발 등

교육: 진학, 학업, 자녀, 교육 등

주거환경 : 교통, 문화, 편의시설 등

자연환경 : 건강, 공해, 전원생활 등

기타

step 3. 이사 전에 살던 곳 주소 조회

다른 곳을 입력하시게 되면 해당 내용이 없다고 나옵니다.  전에 살던 곳에 대한 정보를 주민센터에서 받아와야지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게 되어있더라구요.

step 4. 이사 가는 사람선택

step 5. 이사 온 곳의 주소를 입력하고 서비스 동의 신청체크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매우 간단하죠;;

 

비어있는 집으로 이사를 가신것이라면 '이사온 사람끼리 세대구성' 을 체크하시고 아니시라면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를 체크해주세요. 그리고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체크하시고 , 초등학교 , 미취학 아이들이 있다면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에 체크해주시고 없으시다면 그냥 넘어가시면 되요.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 감면 통합신청도 해당되신다면 동의를 체크해주세요.

 

여기까지 하셨으면 끝!! 입니다. 너무 간단하죠! 사실 기본 정보만 제대로 알고 계신다면 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하는 것은 간단하게 체크와 기입만으로 한번에 끝내실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신청이 되었습니다 완료!!

 

 

 

 

반응형

댓글